공지사항

2026 그린리모델링 정말 재개될 수 있을까? 시나리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LX지인
댓글 0건 조회 85회 작성일 25-10-23 15:37

본문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194_3378.jpg
 


2026 그린리모델링 시나리오


오늘은 샷시 교체 관련 민간부문 정부지원 사업

재개의 가능성에 대해

시나리오를 짜봤습니다.


최근 오래된 주택이나 아파트의

샷시(창호) 교체 리모델링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특히 정부가 추진하던 그린리모델링 제도가

민간주택까지 다시 확대될지 관심이 크죠.

그래서 오늘은

2026 년도를 기준으로

그린리모델링 민간 주택부문

정부지원 사업 재개 가능성을

아래와 같이 다뤄볼게요.


세가지 시나리오

예산 규모 추정

지자체 참여 가능성

신청 조건 예상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659_1671.png
 


현재 정부 및 지자체의 재생에너지 지원 사업 흐름


그린리모델링창조센터 자료에 따르면

이전에 민간건축물

금융이자를 지원하는 사업이 존재했지만,

2023년 11월부터 신규 접수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반면 지자체 중

서울시는 BRP를 통해

민간부문 보조 정책을

매년 꾸준히 진행중이며,

경기도 각 시군에서는

2025년부터 준공 후 10년 이상 경과된

단독·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고성능창호·단열보강을 지원하는

주택 패시브사업을 개별적으로 도입 중이죠.


그 흐름에 맞춰 새 정부에서는

2026 “민간주택 부문까지

보조하는 정책을 다시 추진하려는 여건”이

어느 정도 갖춰지고 있습니다.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675_6744.png
 


시나리오 하나,

예산규모 및 시범사업 가능성


공공건축물 대상 그린리모델링 예산은

최근 수백억 원 단위(경기도 국비 242억 원)로

집행되는 사례가 있어요.


민간 부문 즉, 일반 서민 주택이 대상이 된다면

초기 규모는 수백억 원대(예: 200~500억 원)

시범사업이 될 수 있고,

지자체 매칭형으로 전환된다면

1,000억 원 이상까지 확대될 여지도 있습니다.


다만 아직 중앙정부 예산안에서

민간부문 지원금액이

명시적으로 발표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사업 초기엔 지자체 몇 곳을 중심으로 한

파일럿 형태일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이것도 예상 시나리오일 뿐입니다.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684_8434.png
 


시나리오 두울,

각 지자체별 참여 가능성


지자체에서 이미

민간주택 부문 그린리모델링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준비하여 참여할 가능성은

꽤 현실적입니다.


2026 년도에는 중앙정부가 기본 틀을 마련하고,

각 시·군구가 매칭예산을 확보해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방식이 나올 수도 있어요.

특히 노후주택 밀집지역이나

단독·다세대 등이 많은 지역에서

우선 시행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695_5169.png
 


시나리오 세엣,

 신청 조건 예상


기존 사업 안내를 보면,

리모델링 지원 조건은 다음과 같아요:


준공 후 15년 이상 경과된 민간건물 대상.

창호·내외부 단열 보강 등 필수공사 포함.

에너지성능 개선률 또는

창호 효율등급 등이 일정 기준 이상

이어야 지원 가능.


2026 그린리모델링 민간부문

정부지원 시나리오 라면

이러한 조건이 유지

또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돼요.


신청 절차는

온라인 접수 + 에너지성능 진단 + 시공후 검증

방식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BRP나 새빛주택 정책 사례에서도

사후 검증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어요.


cc7793fa6ddd34d669440ee676c7d545_1761201704_2936.png
 


2026 그린리모델링 민간부문 종합 전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