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복층 유리 두께별 단열 성능 비교 | 24mm 26mm 28mm 어떤 두께가 더 좋을까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LX지인
댓글 0건 조회 134회 작성일 25-07-02 11:01

본문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532_7642.jpg
 


창호 시공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26㎜, 28㎜ 유리가 24㎜보다 단열이 더 잘 되나요?”


단열은 유리 총 두께보다 공기층의 두께에 영향을 받습니다.


◆ 전도, 대류, 복사의 차단 원리


페어글라스는 열이 이동하는 세 가지 방식인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도 : 각 판유리와 간봉은 서로 다른 온도의 접촉면에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줄여줍니다.


대류 : 두 판유리 사이에 채워진 가스는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내부 열 손실을 줄여줍니다.


복사 : 저방사 로이코팅이 적외선 복사를 반사하여 열이 이동을 방지합니다.


◆ 복층유리의 구조 이해


5T 단판 글라스: 열관류율 5.7W/m²·K

24T 일반 복층 글라스: 열관류율 2.77W/m²·K (5일반+14공기+5일반)

(출처: Oxford Academic -academic.oup.com 및 공인 인증 시험성적서)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622_771.png
일반 페어글라스 시험성적서 출처 : LX하우시스 공식자료


복층유리는 보통 아래처럼 구성됩니다: 26㎜는 전체 글라스 두께가 아닙니다.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650_2599.png
 


여기서 주목해야 할 건 공기층의 두께입니다.


공기 자체는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일정 수준까지는 두꺼울수록 단열 효과가 좋아집니다. 하지만 일정 이상 두꺼워지면 공기층 안에서 자연 대류 현상이 발생해 오히려 단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최적 두께는?


실험 결과에 따르면 공기층 두께가 약 12~14mm일 때 가장 낮은 열관류율(U-Value)을 나타냅니다.


그 이상으로 두꺼워지면 대류 현상으로 인해 열 전달이 다시 증가하게 되죠.


* 열관류율은 단열지표 중 중요한 수치이며 값이 낮을수록 단열성이 좋습니다.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693_3579.png
 


위 수치는 일반 복층유리(공기, 로이코팅 없음) 기준 실험 수치이며, 로이코팅나 아르곤 충전 시에는 전체 U값은 더 낮아지지만 “공기층 두께별 단열 경향성”은 비슷하게 유지됩니다.출처: ScienceDirect, ASHRAE Handbook, 한국건축물에너지협회(KABEE), 한국에너지공단


◆ 핵심 포인트


수치 차이는 미세하지만, 22㎜~26㎜가 단열 성능의 최적 지점입니다.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720_2203.png
 

공기층 두께에 따른 열관류율 값의 변화 (출처: lx-zin.com)



◆ 각 브랜드별 자료를 통해 알아볼까요?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755_5727.pn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755_6026.png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755_6355.png
(주) KCC와 (주)현대엘엔씨의 창호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표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자료 2024)


주식회사 케이씨씨 글라스의 VBF140 제품, (주)현대엘엔씨 LVF132 L4, L6 제품의 예를 통해서도 두께별 열관류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791_2255.png 

22㎜ 보다는 24㎜가 열관류율이 더 낮은 사례 (주식회사 엘엑스하우시스의 수퍼세이브3),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자료 2020)



333ccae551a87404ff50f6bee327a711_1751420827_2503.png
LX의 뷰프레임S 에너지효율등급표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자료 2024)


특히 위의 그림을 보면 같은 제품 일 때 24>28>26 순으로 단열성 차이가 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모두다 같은 4등급이죠. 위의 사례에 각각 아르곤 가스를 충전할 경우 3등급, 이 스펙에 이중창일 경우 1등급으로 올라갑니다.


◆ Q&A


Q. 숫자가 크면 더 단열이 잘 되나요?

A. 꼭 그렇진 않습니다. 대류 현상으로 오히려 U-값이 올라갈 수 있어요.


Q. 26T는 더 고급인가요?

A. 외관상 고급스럽게 보이지만 성능은 24T와 거의 동일합니다.


Q. 비용 차이는 얼마나 나나요?

A. 2T 단위로 갈수록 간봉·가공비가 상승해 28T는 추가 비용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단열 성능은 ‘두께’가 아닌 ‘공기층의 최적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 샷시에 24~26㎜ 페어글라스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28T 이상은 체감 효과는 거의 없고 비용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유리 선택 만큼 중요한 건 우수한 창호 제품과 정확한 시공, 그리고 꼼꼼한 마감입니다.


◆ 요약 한 줄


페어글라스는 ‘두께’가 아닌 ‘공기층의 최적 폭’이 중요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